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

딜레이의 개념과 음악에서의 역할 딜레이(Delay)란 무엇인가? 딜레이는 오디오 신호를 일정 시간 동안 지연시킨 후 원래 신호에 추가하는 오디오 효과다. 이 효과는 사운드를 풍성하게 만들고, 깊이감, 공간감을 부여하는 장치로 리버브만큼 많이 쓰이는 타임 베이스 계열의 장치이다. 딜레이는 원본 오디오의 신호를 복사한 후,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만큼 지연시켜 원본 신호와 혼합한다. 지연된 신호는 원본신호에 다시 더해지며 사용자가 설정한 피드백 값에 따라 반복된다. 음악에서 딜레이의 역할은? 리듬과 텍스처 생성 딜레이는 특히 리듬 섹션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간단한 리듬 패턴에 딜레이를 적용하면, 반복되는 에코가 리듬에 레이어를 생성하여 사운드를 풍성하게 만들어 준다 공간감, 깊이감 부여 보컬이나 리드악기에 딜레이를 적용하면, 직접음(원.. 2024. 1. 30.
리버브의 사용목적과 종류 2024.01.19 - [음악/믹싱과 마스터링] - 리버브의 사용목적과 종류 2024.01.19 - [음악/믹싱과 마스터링] - 리버브의 사용목적과 종류 리버브란 무엇인가 음향학(acoustics)에서 잔향(Reverberation)은 소리가 생성된 후, 지속되는 현상이다. 잔향은 직접음이 반사될 때 발생하는 간접음이다. 소리가 공간에 있는 물체의 표면에 흡수되면서 이 반사들은 축적되고 점점 감소한다. 이때 반사되어 귀에 도달하는 사운드를 인위적으로 모방하여 오디오 효과로 사용하는 장치를 리버브레이터(Reverbrator), 줄여서 리버브(Reverb)라고 한다. 리버브의 사용목적 공간감 사운드에 공간감을 부여하는 것이 리버브의 주된 목적이다. 소리에 실제 공간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깊이와 넓이를 추가함.. 2024. 1. 19.
컴프레서의 기본기능 이해 컴프레서란 무엇인가 컴프레서는 오디오 신호의 동적 범위 (Dynamic Range, DR)를 줄이는 장치이다. 다이내믹 계열 이팩터로 다이내믹 레인지를 압축한다는 목적을 가진다. *다이내믹 레인지 : 음향, 음악에서 소리의 가장 작은 부분과 가장 큰 부분의 차이 컴프레서의 사용목적 컴프레서는 큰 볼륨을 줄이고, 작은 볼륨을 증가시켜 전체 볼륨의 일관성을 향상시킨다. 동적 범위를 조절함으로써 피크(Peak)로 인한 사운드의 변형을 방지하고, 전체 볼륨을 키우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목적이다. 보컬 보컬 녹음에서의 컴프레싱은 균일하고 부드러운 사운드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벌스(verse) 파트는 속삭이듯이 노래하고, 코러스(chorus) 파트는 지르듯이 녹음하여 파트 간의 볼륨차이가 클 경우이다... 2024. 1. 16.
주파수 대역별 특징과 보컬 믹싱 가이드 주파수 Frequency 소리는 다양한 파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발생하는 진동수, 즉 주파수 (frequency)는 소리의 높낮이를 결정한다. 헤르츠(Hz) 단위로 측정되며 1Hz란, 물체가 1초에 1회 진동하는 것을 뜻한다. 주파수 대역 Frequency Range '주파수 대역'이란 소리의 스펙트럼을 특정한 범위로 나눈 것을 말한다. 크게 저음역(Low Frequency), 중음역(Mid Frequency), 고음역(High Frequency)으로 나뉜다. 일반적인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주파수의 범위를 가청주파수라고 한다. 20Hz에서 20KHz라고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 60Hz 이하는 들리기보다는 느껴지는 수준이며, 나이가 들수록 고음역의 17KHz 이상은 들리지 않게 된다. 그래서 1KHz.. 2024. 1. 11.
이퀄라이저의 개념과 종류 EQ 전기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변형시키는 프로세스를 이퀄라이제이션 Equalization이라고 한다. 이를 컨트롤할 때 사용하는 장비를 이퀄라이저 Equalizer라고 하고 줄여서 EQ라고 부른다. 사운드를 녹음하고 재생하는 음향에서의 EQ는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볼륨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특정 주파수를 키우거나 (Boost), 줄일 (Cut) 수 있으며 이는 음색(Tone)의 변화를 가져오기도 한다. 음악에서는 사운드의 높낮이를 도,레,미,파... 등의 음계로 구분하지만, EQ에서는 사운드의 높낮이를 주파수 frequency로 구분한다. 주파수는 헤르츠(Hz)로 측정되며 단위 시간당 발생하는 특정 이벤트의 발생 횟수를 뜻한다. 악기별 주파수 대역에 관한 표는 'Frequency chart' 등의 검.. 2024. 1. 5.
믹싱의 개념과 역사 믹싱 MIXING 여러 개의 개별 사운드를 하나 이상의 오디오 채널로 합성하여 스테레오 음향으로 변환하는 과정 믹싱은 멀티트랙 소스 메이킹과 멀티트랙 레코딩이 널리 쓰이게 되면서 더욱 보편화되고 발전하게 된 개념이다. 소스들의 볼륨 레벨, 주파수 값, 밸런스와 다이내믹, 톤 등을 조화롭게 다듬어 합치는 프로세스이다. 오디오 믹싱 또는 믹스다운이라고도 불리며, 작곡, 음향, 포스트 프로덕션 분야에서 주로 이루어진다. 음악, 영화, TV프로그램 분야에서도 믹싱을 과정을 거쳐 대중에게 전달된다. 일반적으로는 믹싱 콘솔 또는 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DAW)을 조작하는 믹싱 엔지니어에 의해 수행된다. 믹싱의 역사 아날로그 시대의 레코딩과 믹싱 1870년대 마이크와 레코더의 발명으로 믹싱이라는 개념이 생겨났지만.. 2024. 1. 4.